여자장교
페이지 정보
본문
육군701특공연대, DMZ 수색작전 최초 여군장교 팀장 [국방홍보원]
[국방뉴스] 2023.08.07
육군701특공연대, DMZ 수색작전 최초 여군장교 팀장 [국방홍보원]
육군701특공연대는 전시가 되면 적지종심의 임무를 수행하는데요.
DMZ수색작전에도 투입되며 DMZ 친숙화는 물론 평시 작전에 기여하고 전시 임무수행에도 완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힘들고 고된 작전인 만큼 그동안은 남성 장교가 팀장을 맡아 왔었는데, 이번에 여군 장교 최초로 DMZ수색작전의 팀장이 탄생했습니다.
차지은 대위를 이태검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오전 7시, 선선한 기운이 남아있는 연병장에서 육군701특공연대의 하루가 시작됐습니다.
지난 6월부터는 혹서기 일과 시간을 조정해 오전 7시부터 체력단련을 실시해 오고 있습니다.
이어지는 5km 뜀걸음, 우렁찬 군가소리와 함께 단체구보를 실시합니다.
부대는 뜀걸음부터, 전투형 체력단련, 특공무술 등 오전시간 야외훈련 위주의 탄력적인 부대운용을 통해 전 장병의 균형된 전투력 발휘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체력단련이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시간, 차지은 대위가 이끄는 중대는 무장 급속행군을 준비합니다.30kg이 넘는 군장을 매고 빠르게 이동하는 10km 급속행군을 진행합니다.
DMZ수색작전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체력, 중대장을 믿고 걷다보면 어느새 행군은 끝이 나고, 차지은 대위는 중대원 한명 한명의 건강상태를 확인합니다.
차대위가 처음 군인의 길을 택한 데에는 2010년 연평도 포격전이 계기가 됐습니다.
[차지은 대위 / 육군701특공연대 늑대대대 6중대장]
제가 군인의 길을 택하게 된 것은 2010년도에 있었던 연평도 포격전이 있습니다.
근데 그 모습을 보고 괜찮냐라고 걱정해 주는 이제 외국인의 시선을 보면서 ‘내가 안보에 대해서 조금 안일했구나’라는 생각을 했었고 ‘나도 한국에 돌아가면 국방의 의무를 해보고 싶다’라는 생각에 군인의 길을 택하게 된 것 같습니다.
2017년 임관한 차대위는 27사단 수색중대와 39사단 해안감시기동대대 등을 거쳤고 지금은 연대 DMZ수색작전의 팀장을 맡고 있습니다.
DMZ수색작전 첫 여군장교 팀장이라는 타이틀에 대해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
[차지은 대위 / 육군701특공연대 늑대대대 6중대장]
처음에는 이제 첫, 처음이라는 단어가 부담스러웠는데 오히려 중대원들하고 같이 생활하고 그리고 DMZ작전 준비하고 대대장님께 평가받는 과정을 거치면서 그 부담감이 조금 자신감으로 많이 바뀐 것 같습니다. 확실히 아무나 할 수 없고 또 누구나 할 수 없는 자리라는 것을 많이 느꼈습니다. 그리고 저 혼자가 아니라 팀원, 팀워크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많이 느꼈습니다.
가족같은 분위기의 6중대, 정상우 상사는 부중대장으로서 차대위의 든든한 받침이 되겠다고 말합니다.
[정상우 상사 / 육군701특공연대 늑대대대 6중대 부중대장]
배려심도 있고 꼼꼼하고 중대원들한테 한 명 한 명 챙기려고 하는 세심한 모습들이 많이 보기 좋았습니다.
중대장님이 오신 만큼 앞으로 더 최강의 6중대가 될 거라고 크게 기대하고 있습니다. 뒤에서 든든히 버팀목이 되겠습니다. 6중대 파이팅!
앞으로의 각오를 물어봤습니다.
[차지은 대위 / 육군701특공연대 늑대대대 6중대장]
첫 번째로는 제가 현재 하고 있는 DMZ작전을 무사히 완전하게 마치는 게 첫 번째 목표이고 두 번째는 전평시 임무인, 평시에는 이제 격멸 TF로서 그리고 전시에는 국지 도발 대응 부대로서의 임무를 완수하는 것이고, 세 번째는 저도 중요하지만 저 주변에 있는 동료, 중대원들을 잘 챙길 수 있는 그런 장교이자 중대장이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국방뉴스 이태검입니다.
@aaaa-bb5qe : 여군이 필요한게 아니라 군인이 필요한거고 여군이라서 차별받아서 안되지만 여군이라서 특혜 받아서도 안되고 군이 여성에게 열려있다는것을 홍보하는것은 좋지만 능력이 안되는 사람을 보직에 올려 홍보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되고 여군도 남군과 동일한 평가 기준을 적용 받아야 합니다. 그것이 여군이라서가 아닌 군인으로서 인정받는 그들의 명예인것입니다.
@jimlee4569 : 국민을 위해서 열심히 나라를 지키는 군인 여러분 화이팅 입니다 .
@whitesoillee516 : 국방의 일선에서 고생하고 계신 모든 장병들과 귀 관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bee-xw3ou : 나라를 지킴에 남녀 구분이 있을수가 없지요
자랑스럽습니다 우리의 아들딸들
@user-pg3nb5oo5q : 훌륭합니다.
각자직업은 틀려도 나라를 생각하는 마음은 저여군 대위님과 같으리라 생각합니다. 대한민국 화이팅 !
여군 당직사관 특 ㅋㅋㅋ
@Heemeehada : 아 이럴때 반말하지 언제해보나
@zx_g6427 : 입으로는 여군을 욕하지만 몸과 머리는 조공을 바치고 있지 그거시 극남초 군인의 숙명
@user-wc7bu5sc4d : 팩트: 저정도 대접받는 여군은 사람 자체가 ㅆㅅㅌㅊ인 경우
@ep0sxl7sap87 : 그나마 상번 때 간식, 하번 때 아침밥 챙겨주는 병사들 덕분에 근무 설 맛 납니다ㅎㅎ
@user-cloudboy : 똑같은 부대 똑같은 병사인데 그날 당직이 누구냐에 따라 근무 척도가 달라짐. 동내바보형이 걸리면 다 놀거나 자고 있고, 개빡센 간부 걸리면 일단 브리핑부터 근무간 알아야할 모든것을 암기하고 들어옴.
[여군의세계] 고정관념을 깨는 여군들. 특전사, 헌병, 보병 등 다양한 병과의 여군들과 여군학교와 사관학교에서 힘든 훈련과정을 담은 다큐 (KBS 19971011 방송)
■ 대한민국 여군은 1950년에 창설되어 이미 반세기에 가까운 역사를 자랑한다.
처음 단일병과에서 출발하여 지난 1990년 이후 여러 병과로 나눠 확대되면서
그 역할도 꾸준히 증대되어왔다. 신세대 젊은여성들에게 전문직종으로
1990년대 주목받고있는 여군학교 및 사관학교 경쟁률은 평균 20 대 1.
당시엔 어떤 과정을 통해 여군이 될 수 있었을까
1997년 10월 11일 [특종 비디오저널] 방송 하이라이트입니다
그녀의 삶이 역사입니다.
Her story is HERSTORY
@table_of_tailor : 여성의 의무복무를 열렬히 지지합니다! 왜 남성만 의무복무 시키나요! 이렇게 멋지게 복무하는 여성들도 있는데 말이죠!
@dddtr271 : 권리앞에선 한없이 당당한 여성
의무앞엔 한없이 나약한 여성
@user-st3lb9re1b : 여성도 반드시 징집해야 합니다. 2년간 의무 복무! 진정한 남녀평등의 지름길
@user-sr1ei8oz8x : 대한민국도미국처럼모병제로도입더강한군대로육성해야한다.사병의무복무기간은3년으로...!
@user-ld3kp8vr9m : 특전사 헌병 보병 사관학교 다 열려있는데 한군데 안열려 있는곳이 있습니다. 신성한 국방의 의무인 의무복무입니다. 장교도 할 수 있고 부사관도 할 수 있다면 사병도 할 수 있습니다. 신성한 의무복무의 기회를 여성들에게 열어 완전한 양성평등 사회를 이룩합시다!
[국방뉴스] 2023.08.07
육군701특공연대, DMZ 수색작전 최초 여군장교 팀장 [국방홍보원]
육군701특공연대는 전시가 되면 적지종심의 임무를 수행하는데요.
DMZ수색작전에도 투입되며 DMZ 친숙화는 물론 평시 작전에 기여하고 전시 임무수행에도 완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힘들고 고된 작전인 만큼 그동안은 남성 장교가 팀장을 맡아 왔었는데, 이번에 여군 장교 최초로 DMZ수색작전의 팀장이 탄생했습니다.
차지은 대위를 이태검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오전 7시, 선선한 기운이 남아있는 연병장에서 육군701특공연대의 하루가 시작됐습니다.
지난 6월부터는 혹서기 일과 시간을 조정해 오전 7시부터 체력단련을 실시해 오고 있습니다.
이어지는 5km 뜀걸음, 우렁찬 군가소리와 함께 단체구보를 실시합니다.
부대는 뜀걸음부터, 전투형 체력단련, 특공무술 등 오전시간 야외훈련 위주의 탄력적인 부대운용을 통해 전 장병의 균형된 전투력 발휘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체력단련이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시간, 차지은 대위가 이끄는 중대는 무장 급속행군을 준비합니다.30kg이 넘는 군장을 매고 빠르게 이동하는 10km 급속행군을 진행합니다.
DMZ수색작전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체력, 중대장을 믿고 걷다보면 어느새 행군은 끝이 나고, 차지은 대위는 중대원 한명 한명의 건강상태를 확인합니다.
차대위가 처음 군인의 길을 택한 데에는 2010년 연평도 포격전이 계기가 됐습니다.
[차지은 대위 / 육군701특공연대 늑대대대 6중대장]
제가 군인의 길을 택하게 된 것은 2010년도에 있었던 연평도 포격전이 있습니다.
근데 그 모습을 보고 괜찮냐라고 걱정해 주는 이제 외국인의 시선을 보면서 ‘내가 안보에 대해서 조금 안일했구나’라는 생각을 했었고 ‘나도 한국에 돌아가면 국방의 의무를 해보고 싶다’라는 생각에 군인의 길을 택하게 된 것 같습니다.
2017년 임관한 차대위는 27사단 수색중대와 39사단 해안감시기동대대 등을 거쳤고 지금은 연대 DMZ수색작전의 팀장을 맡고 있습니다.
DMZ수색작전 첫 여군장교 팀장이라는 타이틀에 대해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
[차지은 대위 / 육군701특공연대 늑대대대 6중대장]
처음에는 이제 첫, 처음이라는 단어가 부담스러웠는데 오히려 중대원들하고 같이 생활하고 그리고 DMZ작전 준비하고 대대장님께 평가받는 과정을 거치면서 그 부담감이 조금 자신감으로 많이 바뀐 것 같습니다. 확실히 아무나 할 수 없고 또 누구나 할 수 없는 자리라는 것을 많이 느꼈습니다. 그리고 저 혼자가 아니라 팀원, 팀워크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많이 느꼈습니다.
가족같은 분위기의 6중대, 정상우 상사는 부중대장으로서 차대위의 든든한 받침이 되겠다고 말합니다.
[정상우 상사 / 육군701특공연대 늑대대대 6중대 부중대장]
배려심도 있고 꼼꼼하고 중대원들한테 한 명 한 명 챙기려고 하는 세심한 모습들이 많이 보기 좋았습니다.
중대장님이 오신 만큼 앞으로 더 최강의 6중대가 될 거라고 크게 기대하고 있습니다. 뒤에서 든든히 버팀목이 되겠습니다. 6중대 파이팅!
앞으로의 각오를 물어봤습니다.
[차지은 대위 / 육군701특공연대 늑대대대 6중대장]
첫 번째로는 제가 현재 하고 있는 DMZ작전을 무사히 완전하게 마치는 게 첫 번째 목표이고 두 번째는 전평시 임무인, 평시에는 이제 격멸 TF로서 그리고 전시에는 국지 도발 대응 부대로서의 임무를 완수하는 것이고, 세 번째는 저도 중요하지만 저 주변에 있는 동료, 중대원들을 잘 챙길 수 있는 그런 장교이자 중대장이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국방뉴스 이태검입니다.
@aaaa-bb5qe : 여군이 필요한게 아니라 군인이 필요한거고 여군이라서 차별받아서 안되지만 여군이라서 특혜 받아서도 안되고 군이 여성에게 열려있다는것을 홍보하는것은 좋지만 능력이 안되는 사람을 보직에 올려 홍보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되고 여군도 남군과 동일한 평가 기준을 적용 받아야 합니다. 그것이 여군이라서가 아닌 군인으로서 인정받는 그들의 명예인것입니다.
@jimlee4569 : 국민을 위해서 열심히 나라를 지키는 군인 여러분 화이팅 입니다 .
@whitesoillee516 : 국방의 일선에서 고생하고 계신 모든 장병들과 귀 관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bee-xw3ou : 나라를 지킴에 남녀 구분이 있을수가 없지요
자랑스럽습니다 우리의 아들딸들
@user-pg3nb5oo5q : 훌륭합니다.
각자직업은 틀려도 나라를 생각하는 마음은 저여군 대위님과 같으리라 생각합니다. 대한민국 화이팅 !
여군 당직사관 특 ㅋㅋㅋ
@Heemeehada : 아 이럴때 반말하지 언제해보나
@zx_g6427 : 입으로는 여군을 욕하지만 몸과 머리는 조공을 바치고 있지 그거시 극남초 군인의 숙명
@user-wc7bu5sc4d : 팩트: 저정도 대접받는 여군은 사람 자체가 ㅆㅅㅌㅊ인 경우
@ep0sxl7sap87 : 그나마 상번 때 간식, 하번 때 아침밥 챙겨주는 병사들 덕분에 근무 설 맛 납니다ㅎㅎ
@user-cloudboy : 똑같은 부대 똑같은 병사인데 그날 당직이 누구냐에 따라 근무 척도가 달라짐. 동내바보형이 걸리면 다 놀거나 자고 있고, 개빡센 간부 걸리면 일단 브리핑부터 근무간 알아야할 모든것을 암기하고 들어옴.
[여군의세계] 고정관념을 깨는 여군들. 특전사, 헌병, 보병 등 다양한 병과의 여군들과 여군학교와 사관학교에서 힘든 훈련과정을 담은 다큐 (KBS 19971011 방송)
■ 대한민국 여군은 1950년에 창설되어 이미 반세기에 가까운 역사를 자랑한다.
처음 단일병과에서 출발하여 지난 1990년 이후 여러 병과로 나눠 확대되면서
그 역할도 꾸준히 증대되어왔다. 신세대 젊은여성들에게 전문직종으로
1990년대 주목받고있는 여군학교 및 사관학교 경쟁률은 평균 20 대 1.
당시엔 어떤 과정을 통해 여군이 될 수 있었을까
1997년 10월 11일 [특종 비디오저널] 방송 하이라이트입니다
그녀의 삶이 역사입니다.
Her story is HERSTORY
@table_of_tailor : 여성의 의무복무를 열렬히 지지합니다! 왜 남성만 의무복무 시키나요! 이렇게 멋지게 복무하는 여성들도 있는데 말이죠!
@dddtr271 : 권리앞에선 한없이 당당한 여성
의무앞엔 한없이 나약한 여성
@user-st3lb9re1b : 여성도 반드시 징집해야 합니다. 2년간 의무 복무! 진정한 남녀평등의 지름길
@user-sr1ei8oz8x : 대한민국도미국처럼모병제로도입더강한군대로육성해야한다.사병의무복무기간은3년으로...!
@user-ld3kp8vr9m : 특전사 헌병 보병 사관학교 다 열려있는데 한군데 안열려 있는곳이 있습니다. 신성한 국방의 의무인 의무복무입니다. 장교도 할 수 있고 부사관도 할 수 있다면 사병도 할 수 있습니다. 신성한 의무복무의 기회를 여성들에게 열어 완전한 양성평등 사회를 이룩합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